본문 바로가기
평생교육

평생교육에서 학교교육의 변화와 다양한 형태의 교육

by 소금쟁이89 2024. 3. 4.

학교교육은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학교제도의 문제점과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나타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생교육에서 바라보는 학교교육의 변화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학교 교육의 변화

학교제도가 초래한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획일적이고 개성이 부족하며 지나치게 순응하는 학생들을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그 대안으로 제도적인 경직성을 벗겨내려고 하고 있고, 개방과 개혁을 통해 새로운 길을 모색하죠. 예를 들어 방송통신대학이나 개방대학이 그렇습니다.

 

탈학교론의 등장

탈학교론은 기존의 학교 교육 체제에서 벗어나려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 개념은 일리치(I. Illich)의 주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는 학습이 반드시 학교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학교가 학습을 증진시키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오히려 그는 학교가 개인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여겼습니다. 이는 그가 "정신적 자살"이라고 묘사한 현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는 이러한 이유로 학교 체제를 폐지하고, 상호친화적인 교육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일리치는 새로운 교육 체제로 '학습을 위한 네트워크'를 제안했습니다. 이는 누구나 필요한 자료와 도구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공유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다른 사람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도 그러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리치는 개인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했습니다.

대안학교의 등장

대안학교는 탈학교론에 근거하여 전통적인 학교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개별 학습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형태를 추구하는 움직임입니다. 이는 20세기 초에 인간성 회복을 중시하는 가치로 출현한 교육 형태입니다.

초기 대안교육의 대표적 사례로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학교와 닐의 섬머힐 학교가 있습니다. 이들 학교는 인지중심 교육과정을 비판하고, 체험 중심의 교육과 공동체 중심의 인간화 교육을 강조했습니다.

대안학교는 다양한 이념을 추구합니다. 자유학교형은 학교 교육의 통제와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고자 합니다. 생태학교형은 소규모 학교로서 지식 교육과 함께 의식주 관련 활동을 중시합니다. 재적응 학교형은 학교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설립됩니다. 또한, 고유 이념 추구형은 독특한 교육 이념과 방식을 추구하는 학교를 지칭합니다.

 

재택학교의 등장

재택학교는 탈학교 운동의 한 형태로, 가정에서 학습을 진행하는 교육 방식을 의미합니다. 부모가 직접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재택교육은 초기에는 미국에서 종교적인 이유로 가정에서 교육을 받아야 할 필요를 느낀 부모들에 의해 주로 실시되었습니다. 이들은 학교의 교육 내용을 가정에서 가르치되, 학교가 학습 진행상황을 평가하여 인정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사회적 수용은 일부 문제가 있었습니다.

1980년에는 약 6만에서 12만 명의 재택학교 학생이 있었으며, 1993-94년에는 45만에서 80만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현재의 재택학교 학생 수는 약 2-3백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재택학교는 지금은 하나의 교육 운동이자 사회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교육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학교의 교육과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관심사와 필요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합니다. 또한, 재택학교 학부모들은 일반적인 학교를 신뢰하지 않으며, 학습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대학의 확장

대학확장은 기존의 학교 중심 교육제도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이는 고등 교육의 영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학문 연구와 학생 교육의 기능에 사회봉사의 역할이 새롭게 부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학확장은 여러 가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영미의 대학들은 사회에 대한 교육봉사를 대학의 중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체 학생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성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봉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9세기 중반에는 영국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대학 강의를 개방하는 대학이 생겨났습니다. 한국에서는 1971년부터 대학들이 시민 강좌로서 '주부대학 강좌'를 개설하여 평생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이러한 평생 교육 실시 여부가 정부의 대학 평가 기준 중 하나로 포함되었습니다.

 

시간제 학생의 등장

시간제 학생은 대학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로, 고졸 학력 이상을 보유한 성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시간제 학생 등록제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에 정식으로 다니지 않고도 규정된 학점을 이수함으로써 대학 또는 전문대학 졸업 학력을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시초는 1995년 대통령 자문기구인 교육개혁위원회가 제시한 '열린 교육사회, 평생 학습사회 기반 구축'을 위한 교육개혁 방 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한국 교육개발원 내 학점은행에 등록하고 이수한 학점이 80학점 이상이면 전문대학, 140학점 이상이면 대학 졸업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시간제 학생 등록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1. 교육 정책의 중심이 교육 공급자에서 학습자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학습자의 교육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3. 시간제 등록제와 관련된 주요 제도 중 하나가 학점은행제입니다. 이 제도는 개인이 언제 어디서든 학습한 과정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학점으로 인정받고, 이를 누적하여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를 수여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교교육의 변화와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 시간에는 성인교육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변천사와 새로운 교육양식인 원격교육의 발전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