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생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에서 교사의 학습기대효과와 지향점을 알아보자

by 소금쟁이89 2024. 2. 14.

교사의 학습기대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연구의 대부분은 교사의 수업방식이나 수업의 질이 학습효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떤 특성을 가진 학생에게 어떤 수업방식이 더 효과적인지를 다루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를 보면 교사가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보단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학생 개개인에게 갖는 지각이 학급 내 학생 간의 차이를 가져오게 됩니다.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생 개별적으로 교사의 행동이 달라지게 되는 걸 주장하는 것입니다. 교사의 학업성취 기대가 학생의 성적에 영향을 미칩니다. 로젠탈과 제이콥슨은 자기 충족예언에서 입증했습니다. 교사의 기대효과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교사의 수업행동이나 수업계획, 자료준비, 자료를 제시하는 방법 등에서 다르게 표현됩니다.

 

 

브로피와 굿이라는 학자가 주장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학급 내에서 교사와 학생은 일대일 행동을 분석합니다. 교사는 학급의 수업행동에서 학생에게 학습행동의 차이를 기대하게 됩니다. 기대수준에 따라 학생을 다르게 취급하게 되고, 학생 또한 교사의 기대 수준에 맞춰서 반응하게 됩니다. 어떤 학생의 수업행위가 더 강화될지 수정되거나 혹은 약화되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학생의 학습행위는 더 촉진되고 반대로 저조하게 되는 경우도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이런 교사의 기대효과는 학기말이나 시험결과에서 교사의 자기 충족예언의 가정을 지지해 준다는 걸 의미합니다.

 

다음은 퍼셀이라는 학자의 말을 살펴볼까요? 교사의 대인지각이 학생 성적 격차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걸 주장합니다. 교사 기대의 근원과 결과에 관한 분석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교사의 기대 차이는 교사의 경험이나 교육구조, 학생의 가정배경, 용모, 성격 등에 따라 유발됩니다. 그로 인해 형성된 교사의 기대차이는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생에게 전달될거고, 학급 내에서 상호작용과 수업실천, 평가방식에 반영되어 학생 간의 학업성취의 격차를 초래하게 됩니다.

 

교사의 기대가 학생에게 전달되는 사회심리학적 5가지 기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학급의 일반적인 대인지각이나 관계에서 교사의 기대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교사는 높은 기대를 하고 있는 학생에겐 낮은 기대를 하는 학생에 비해 많은 온정을 베풀게 됩니다. 비언어적인 형태의 학생과 눈 마주침이나 교사의 표정, 동작, 학생의 어깨에 손을 얹는 다거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형태로도 교사의 기대 수준이 전달됩니다. 두 번째는 학생행동에 대한 반응에서 적극적인 칭찬이나 격려 정도에 따라서 교사의 기대수준이 표출된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학생 개인에게 투입하는 시간량의 차이가 있습니다. 높은 기대를 거는 학생에겐 개별지도를 하는 시간이 다른 학생에 비해 많아지고, 질문에 대해 반응시간도 길어져서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끌어내기 위해 많은 자료를 제공하게 됩니다. 네 번째는 학생의 반응기회에서의 차이입니다. 높은 기대를 하는 학생에게 질문빈도가 잦아진다거나 반응기회를 주게 됩니다. 보다 지적인 반응을 유도해서 반응의 정확성과 기회를 높여줍니다. 다섯 번째는 교사의 지각에 따라 수업준비가 달라집니다.

교사는 자기가 지각한 학생의 능력수준에 따라서 학습자료나 그 내용구성의 난이도 수준을 다르게 정합니다. 교사의 기대 수준에 따라서 과제를 부과하거나 자료준비 또는 제공하는 양에서 차이가 납니다. 교사의 자기 충족예언과 같은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면 학생 간의 성적 격차는 불가피하게 되고, 여러 예시들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해줍니다. 특히 강조하는 건 교사의 기대효과에 대한 잘잘못보단 교사의 기대효과가 강하게 학습행위를 좌우하게 되고, 그 결과가 성적 차이를 낳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교사 기대의 지향점은 무엇일까요?

교사가 학생성적에 대해 기대나 자기충족적 예견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집단변화의 역동적 원리의 적용이 필요하고, 학교나 학급의 집단구성원 전체의 변화에 중점을 둬야 합니다. 수업 상황에서 교사나 학생은 개인으로서가 아닌 집단의 일원으로 행동하고 학습하게 됩니다. 교사의 결핍요인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선해야할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의 집단적 신념을 보편화하고, 협동적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평등주의적 수업실천행위를 해야 합니다.

 

교사 기대와 학교학습풍토를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낮은 기대는 학생이 학습부진으로 빠지게 됩니다. 학생들의 자기 평가를 증진시키고 무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선 부정적인 자기 충족예언 대신 긍정적인 자기 충족예언을 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높은 교사 기대를 모든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모든 학생에 대해서 높은 기대를 작동시키는 수업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타인들이 보는 그대로 자신을 보게 되고, 교사는 학생들에게 품고 있는 기대 수준에 맞춰 수업을 하게 됩니다. 기대가 적고 가르치는 양도 적다면 학생들은 학교에서 절망감을 키우게 됩니다. 기술과 지식이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습득되어야 하고, 교사 기대와 학생의 평가를 고양시키는 일은 교사와 학생 간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영향을 통해 형성되게 됩니다. 

 

오늘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교사의 기대차이에 따라서 학생 개개인에 대한 교사의 행동이 달라진다는 것이며, 교사의 기대효과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브로피와 굿은 학습 내에서 교사와 학생의 일대일 행동을 분석했고, 퍼셀은 교사의 대인지각이 학생의 성적 격차의 중요한 요인임을 주장했습니다. 교사 기대와 학생의 평가를 고양시키기 위해선 교사와 학생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