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계층의 결정요인과 문화특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회계층의 결정요인을 통해 문화의 특성 그리고 한국의 교육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사회계층 결정요인
사회계층 형성의 주요 요인은 사회나 시대에 따라 다르며, 혁명이나 전쟁 같은 사회적 변혁, 종교, 학식, 인종 등이 계층을 형성하는 결정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배경, 재산, 개인적 자질(성, 연령, 미모, 지성 등), 교육정도와 직업의 종류, 권위와 권력 등도 계층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직업지위, 교육 수준, 소득 수준의 차이가 주로 사회계층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최근에는 땅값, 집값의 차이가 커서 거주지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층 형성 요인은 시대나 사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사회계층 형성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 사회의 계층구조는 평등사회 방향으로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계층 간의 상하 격차는 감소하기보다는 확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IMF로 인해 중간계층이 무너져 소득격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변화는 금리가 높아져 돈 많은 사람은 계속 벌고 돈 없는 사람은 이자가 높아져 무너지는 현상을 야기했습니다.
사회계층 형성요인에 대한 학자 주장
사회계층 형성 요인에 관한 학자들의 주장은 다양합니다.
1. 막스 베버(Max Weber): 베버는 재산(계급 결정), 권위(신분의 차이), 권력(당파 결정)을 사회계층 형성의 주요 요인으로 간주했습니다.
2. 워너(Warner): 워너는 평정 참여법과 지위 특성 지표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사회 계층을 평정 참여도와 지위 특성 지표를 기준으로 정의했습니다. 평정 참여도 기준으로는 주민의 친숙도, 교회 활동 등의 활동 범위를 중심으로 서열을 정하고, 지위 특성 지표로는 직업, 가옥의 형태, 거주지역, 수입, 소득원, 교육 수준 등을 고려했습니다.
3. 홍두승: 객관적 조건인 직업 위계 서열상의 지위, 소득, 교육 수준,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뿐만 아니라 주관적 인식과 인지적 평가, 그리고 구체적인 계급행동 또는 계층행동을 고려했습니다.
사회계층 문화특성
사회계층의 문화특성은 주로 그 계층이 속한 사람들의 가치관, 행동양식, 사회활동 등을 반영합니다. 상류계층은 가문과 전통을 중시하며 보수적인 경향을 가집니다. 중류계층은 전문직 종사자들로 이루어지며 미래를 중시하는 가치관과 넓은 사회활동 참여가 특징입니다. 중류하층은 회사 관리자, 숙련 노동자, 기술자 등이 속하며, 검소하고 경제적 독립성을 중시합니다. 하류상층은 중류와 하류 계층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며, 다양한 직업과 소득을 가집니다. 마지막으로, 하류하층은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이 부족하고 자녀의 비행이나 일탈을 용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회계층 이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개인적 특성인 지능, 학업 성취, 사교성, 특기 등이 이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직업과 수입은 교육 수준과 직업이 사회 계층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교육적 기회는 이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형제자매 수, 결혼시기 등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가정요인입니다.
사회이동과 교육체제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터너의 분류에 따르면, 경쟁적 이동과 후원적 이동이 있습니다. 경쟁적 이동은 개인의 자질과 노력에 의해 결정되는 이동이며, 후원적 이동은 기관이 필요한 능력의 소유자를 조기에 선발하여 상승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사회이동은 교육체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교육의 기회와 질이 사회계층 이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교육은 개인의 직업적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개인이 받은 교육과 초기 경험은 직업적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계층 배경 요인보다 더 강합니다. 교육 성취는 직업 지위 획득의 중요한 결정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결과가 일정하지 않으며, 흑인과 백인, 남자와 여자 간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교육은 시대에 따라서도 변화해 왔습니다. 조선의 붕괴, 일제 식민지배, 광복, 토지개혁, 그리고 6.25 전쟁을 거치며 전통적인 계층 구조가 붕괴되었습니다. 조선말부터 50년대까지는 언어, 민족, 인종이 동질적이라는 점 때문에 전통적 계급 구조가 상대적으로 평등해졌습니다. 해방 직후에는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간의 교육성취가 개인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었고, 이는 사회 경제적 지위가 능력에 따라 배분되었다는 점을 나타냈습니다.
1960년대부터 70년대의 산업화 과정에서는 지역 간 이동과 직업 분화로 인해 새로운 계층 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산업화 초기에는 능력주의적인 사회 경제적 지위 획득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사회의 개방성을 높이고 사회 이동을 촉진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는 계층 구조의 고착화와 불평등 재생산이 일어나는 등 교육과 사회 계층 간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평생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기회균등의 개념과 변천사 (0) | 2024.04.02 |
---|---|
사회이동이 의미하는 것과 그리고 관점 (0) | 2024.03.27 |
사회계층의 개념과 본질을 알아보자 (0) | 2024.03.27 |
학교팽창의 특성과 주요 동인 분석(남한과 북한,미국 등) (0) | 2024.03.22 |
학습욕구이론과 기술기능이론에서 보는 학력상승의 원인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