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4

한국 교육제도의 변천, 개화기 이전부터 개화기 한국 교육제도의 변천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개화기 이전의 교육과 그 이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유학중심의 교육제도로 삼국시대부터 조선말까지의 교육내용을 봐보겠습니다. 유학중심의 교육제도로 사서삼경을 비롯한 유학으로 중국의 고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의미하고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합니다. 사서삼경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책인 주역은 동양철학 사상의 근원적인 원리를 담고 있는 철학서입니다. 교육기관을 살펴보겠습니다. 고구려시기에는 태학이라는 게 있었습니다. 소수림왕 때, 태학은 관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유학 교육기관으로 여기에서는 중국의 경학과 문학은 물론이고 무예도 교육했다고 전해집니다. 오경과 삼사를 중심으로 교육하였고 주로 귀족 자제가 입학.. 2024. 2. 4.
평생교육의 등장, 개념과 배경에 대해 알아보기 지난번 포스팅 때 공교육제도의 특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평생교육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생교육은 변질된 교육에 대한 저항으로 학교개혁의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대한교육운동이 나타나고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유네스코가 제국주의 식민지지배로부터 독립한 가난한 나라 국민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해교육을 강조했습니다. 1960년대에는 학교 밖의 청소년들과 성인을 위해 학교 밖 교육인 비형식 교육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게 됩니다. 1970년대에는 유네스코 교육정책 문서에 언급으로 평생교육을 교육제도의 새로운 사상적 기초로 제시합니다. 그다음으로 평생교육의 제안으로 학교교육을 마친 사람들에 대해 평생에 걸친 계속교육이 필요해집니다. 평생교육의 관점 차이로 개발도상국과.. 2024. 2. 4.
평생교육에서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특징 알아보기 어제는 평생교육의 교육사회학에서 기능주의 비판과 신교육사회학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오늘 주제는 공교육제도의 등장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대국가에서 오늘날 보편화되어 있는 학교중심의 공교육제도는 그 역사가 길진 않습니다. 19세기 이후로 근대국가에서 교육은 국가가 관리하는 국민교육으로 발전하였고, 학교 본위 공교육제도의 보편화는 20세기에 이르러서야 일어났으니까요. 국가가 시험과 학력인증을 관장하고 학교운영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습니다. 공교육의 개념은 무엇일까요? 국가 혹은 준국가적 자치조직의 통제와 관리, 지원에 의해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교육제도를 의미합니다. 국가 관리 및 지원과 국민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성과 평등성이 요건이며, 교육의 사회적 유용성과 교육내용의 중립.. 2024. 2. 4.
교육사회학에서 해석학적 이론의 공헌과 비판 지난 포스팅에서 교육사회학의 해석학적 이론을 다뤄봤습니다. 이번에는 해석학적 이론의 공헌과 비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해석학적 이론과 학교 교육을 보겠습니다. 학교사회를 복잡한 사회체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학교는 그 구성원이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축하고, 학교는 구성원의 인간성 형성과정이 중요합니다. 미시적 측면에서는 교사, 학생, 교육행정가, 학부모들의 행동을 이해하려고 시도합니다. 학교생활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에 부여된 의미와 해석적 기술을 중시하고, 구체적으로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큰 관심을 둡니다. 해석적 교육관은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이나 현상의 의미를 새로운 각도에서 구명하거나 서술합니다. 해석적 관점에 따르면 주관성이나 주체성은 의미 생성의 실체와 그 실체를 파악하기 .. 2024.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