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생교육사회학46

남북분단 상황에서 교육제도는 어떻게 발달했을까? 지난 포스팅은 일제강점기 하의 교육제도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다뤘었습니다. 이번에는 남북 분단하의 교육제도는 어떻게 발달했는지 다뤄보겠습니다. 국민교육제도가 수립되고 전개되어 왔던 시기는 1945년~1948년 3년간입니다. 미군정시기를 거치며 해방 후 남한과 북한은 각각 미국과 소련이 군사통치를 했었고 정부를 수립한 뒤에는 각기 독자적인 교육제도를 수립하게 됩니다. 해방 후에 남한과 북한은 각각 미군과 소련군 통치하에 남, 북이 각각 정부를 수립했고 민족은 분단을 맞이합니다. 서로 다른 이념과 체계를 택하고, 교육의 이념과 제도도 다르게 발전합니다. 미군 교육 부분의 책임자로 육군 대위였던 로커드를 임명하여 시카고의 한 초급대학 영어교수로 활동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오천석이라는 분은 한국어를 할 줄 모.. 2024. 2. 5.
일제 강점기 식민지 교육과 독립투쟁 한국은 일제 강점기 교육으로 식민지 교육정책에 따라 일본의 교육제도를 도입했습니다. 1905년 일본의 교육제도가 우리나라의 도입되었고, 학년이 시작되는 시기는 4월로 정했었습니다. 학급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소학교에서 보통학교로 명칭도 변경됩니다. 수업연한 8년에서 4년으로 단축했고, 중학교를 고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여 수업연한을 3~4년으로 통일합니다. 1908년 사립학교령으로 정부의 인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인가를 받지 않은 학교와 인가를 받은 학교라도 학부대신의 결정으로 폐쇄할 수 있었습니다. 1911년도에는 조선교육령으로 한국인을 충성스러운 일본인으로 만드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일본어를 비롯해서 일본문화를 주입하여 한국의 민족문화를 말살합니다. 식민지의 효과적 경영을 위해 초보적인 실업교육을 실시했고.. 2024. 2. 4.
한국 교육제도의 변천, 개화기 이전부터 개화기 한국 교육제도의 변천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개화기 이전의 교육과 그 이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유학중심의 교육제도로 삼국시대부터 조선말까지의 교육내용을 봐보겠습니다. 유학중심의 교육제도로 사서삼경을 비롯한 유학으로 중국의 고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의미하고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합니다. 사서삼경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책인 주역은 동양철학 사상의 근원적인 원리를 담고 있는 철학서입니다. 교육기관을 살펴보겠습니다. 고구려시기에는 태학이라는 게 있었습니다. 소수림왕 때, 태학은 관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유학 교육기관으로 여기에서는 중국의 경학과 문학은 물론이고 무예도 교육했다고 전해집니다. 오경과 삼사를 중심으로 교육하였고 주로 귀족 자제가 입학.. 2024. 2. 4.
평생교육의 등장, 개념과 배경에 대해 알아보기 지난번 포스팅 때 공교육제도의 특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평생교육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생교육은 변질된 교육에 대한 저항으로 학교개혁의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대한교육운동이 나타나고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유네스코가 제국주의 식민지지배로부터 독립한 가난한 나라 국민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해교육을 강조했습니다. 1960년대에는 학교 밖의 청소년들과 성인을 위해 학교 밖 교육인 비형식 교육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게 됩니다. 1970년대에는 유네스코 교육정책 문서에 언급으로 평생교육을 교육제도의 새로운 사상적 기초로 제시합니다. 그다음으로 평생교육의 제안으로 학교교육을 마친 사람들에 대해 평생에 걸친 계속교육이 필요해집니다. 평생교육의 관점 차이로 개발도상국과.. 2024. 2. 4.